반응형
반응형
청년저축계좌 만기해지 사유1. 소득활동 유지 및 매월 10만원 저축청년저축계좌를 만기까지 유지하여 정부지원금을 받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소득활동을 유지하고 매월 본인부담의 10만원의 적립금을 저축해야 한다. 즉 3년까지 소득활동을 계속해야 하며 저축이 밀리지 않아야 한다는 소리로, 36개월 간 360만원을 적립해야 한다. 다만 사전에 부득이한 경우 적립중지 요청을 할 수 있다. 2. 연1 회, 총 3회 교육이수(자립역량교육)청년저축계좌의 경우 청년내일저축계좌보다 교육이수조건이 까다로운데 연 1회, 총 3회 기준을 만족해야 한다. 다만 꼭 매년마다 이수할 필요는 없다. 또한 온라인으로 3회 가능하므로 굳이 집합교육에 가지 않아도 된다. 그런데 가입후 이러한 교육에 대해서 따로 안내라든가 그런건 기대하지 ..
1. 신청 전 1과목 이상 이수 확인2024년 평생교육바우처 35만원 재충전 신청기간은 8월 9일까지로, 우수 이용자라면 신청을 잊지 말고 하자. 평생교육바우처 재충전은 기존의 35만원 이후 한 번 더 35만원을 충전해주는 것인데, 누구나 가능한 것은 아니고 우수 이용자에 한해서 지원이 가능하다. 2024년 평생교육바우처 이용자로 평생교육바우처 지원금(35만원) 전액을 사용하고, 1과목 이상 이수한 자- 사용 기준 : 신청일 기준 지원금 35만원 전액 사용- 이수 기준 : 신청일 기준 ’24년 평생교육바우처로 결제하여 수강을 종료한 과목 중 1과목 이상 이수 및 이수 결과 보고 완료- 중복지원 불가 : 대학생의 경우 한국장학재단 국가장학금(’24년도 2학기)과중복수혜 불가 따라서 전액을 사용하고 1과목 ..
복지로 로그인 후 에너지바우처 복지급여 신청 진행에너지바우처 신청대상인 경우 방문신청과 온라인 신청을 할 수 있는데, 인터넷으로는 복지로 홈페이지에서 로그인 후 진행하면 된다. 1. 신청인 정보 및 가구원 입력가장 맨 처음 작성할 내용은 에너지 바우처 신청인과 해당 가구의 가구원의 정보를 등록한다. 1인 가구라면 따로 가구원을 추가할 필요는 없지만 2인 가구 이상부터는 가구원 등록이 꼭 필요하다. 왜냐하면 에너지바우처는 지원금액이 가구원 수를 기준으로 하기 때문이다.우선 신청인 정보를 입력하고 가족구성원 추가 버튼을 눌러 해당되는 내용을 입력하면 되는 부분으로 그렇게 어렵지 않으니 크게 문제 없을 것으로 생각된다.2. 에너지바우처 신청서 작성신청서에는 우선 대상가구를 체크해야 한다. 기초생활수급자라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