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국민연금 가입대상 나이, 제외대상, 종류, 현황 연령에 따라 가입해야 할 의무가 있음 -국민연금은 만 18세 이상 만 60세 미만의 국내 거주자는 가입해야 함 -단, 공무원연금 등 직역연금 가입자는 제외 -국민연금은 가입자의 종류에 따라 사업장 가입자, 지역 가입자, 임의 가입자, 임의 계속가입자로 구분 -현재 국민연금은 2천 1백만여명이 가입하고 있고, 수급자의 수는 540만명 정도이며 가장 많이 받는 금액은 20만원~40만원 사이임 가입대상 18세 이상 60세 미만 국내 거주자 국민연금 또한 사회보장제도 중 하나로 국민이라면 누구나 가입해야 하지만 건강보험과는 달리 연령제한이 있습니다. 즉 18세 이상 60세 미만인 자가 가입대상이 되는데요. 여기서 공무원연금법 등 직역연금을 적용받는 공무원, 군인,..
소득 감소, 전월세 보증금 감액 등 조정 신청 지역가입자는 보험료 조정을 신청해야 함 -소득감소, 해촉, 폐업 등을 증명하면 그 다음달부터 보험료가 조정이 됨 -재산 또한 매각되거나 과세표준이 적어지면 그에 대한 조정을 신청할 수 있음 -전월세보증금은 30%만 평가되지만 직권 부과될 수 있으므로 확인 후 조정신청할 필요가 있음 지역가입자 소득 관련 조정 소득 감소 및 폐업, 해촉 지역가입자는 직장가입자와 달리 종합소득세 신고 이후 건강보험료가 그 해 11월부터 다음 해 10월까지 산정되게 됩니다. 하지만 그 전에 소득이 감소할 경우 건강보험공단에 이를 증명하면 건강보험료가 조정이 되는데요. 예를 들어 사업을 영위하던 자가 폐업을 하거나, 프리랜서로 취업한 자가 해촉이나 퇴직한 경우를 들 수 있겠는데요. ..
회원가입 후 잊고 있던 내정보 안전관리 e프라이버시 클린서비스 -본인인증한 내용을 바탕으로 회원가입한 사이트를 조회하고 탈퇴 신청도 가능 내가 회원가입한 사이트 조회하기 개인정보침해 신고센터 우리는 많은 인터넷 홈페이지에서 회원가입을 하는 경우가 많지만 1회 이용 후 잊어버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이런 경우 개인정보가 유출되는 등의 피해를 입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내 개인정보를 관리하기 위해 내가 가입한 사이트를 조회하는 법에 대해서 잘 알고 있어야 하겠는데요. 내가 회원가입한 사이트를 조회하기 위해서는 KISA 개인정보침해 신고센터의 e프라이버스 클린서비스를 이용하면 됩니다. https://www.eprivacy.go.kr/main.do https://www.eprivacy.go.kr/main...
코로나 상생국민지원금 선정기준 및 지급방식 건강보험료 기준으로 고액자산가 제외 -외벌이와 맞벌이 간 기준 차등을 두어 합리적인 기준으로 가구 소득 하위 80%까지 지급 -과세표준 9억원 초과, 금융소득 2천만원 초과하는 고액자산가의 경우 제외 -지급액은 1인당 25만원으로 온오프라인 신청 -지역가입자는 소득이 감소한 경우 이의신청을 통해 적극 보정할 계획 코로나 상생국민지원금 선정기준 가구 소득 하위 80%, 건강보험료 기준 5차 재난지원금의 명칭은 코로나 상생국민지원금입니다. 여러가지 말이 많았지만 지난 7월 24일 2차 추가경정예산안이 국회를 통과하면서 확정되었습니다. 코로나 상생 국민지원금의 지원대상은 건강보험료 기준 가구소득 하위 80%가 되며 1인당 25만원을 지급합니다. 지원대상이 되는지는 위..
임신 및 출산 관련 진료비 바우처, 국민행복카드 임신 및 출산한 경우 사용할 수 있는 지원금 -임신 및 출산(유산, 사산포함)한 경우 일태아 60만원, 다태아 100만원을 지급하는 지원제도 -임신 및 출산의 확인을 받아 방문 혹은 인터넷으로 신청하여 국민행복카드로 사용 -2022년 1월부터는 그 내용이 더욱 확대될 예정 임신출산 진료비 지원제도 임신 1회당 60만원 지급 건강보험에서는 임신 및 출산에 관련된 의료비 부담을 경감하기 위해 관련 진료비 등에 사용할 수 있도록 이용권을 지용하는데 국민행복카드를 통해 이용할 수 있습니다. 건강보험 임신 출산 진료비 지원대상은 임신이나 출산(유산 및 사산 포함)이 확인된 건강보험 가입자 또는 피부양자로 신청을 해야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만약 출산한 산모가 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