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건강보험 본인부담금 상한액 2021년 최대 584만원 소득에 따라 차등적용 -건강보험 적용받는 급여항목의 본인일부부담금은 상한액이 정해져있음 -소득분위에 따라 다르며 최저 81만원 최고 584만원까지 -건강보험이 적용되지 않는 비급여 항목, 선별급여, 임플란트 등 제외 -본인부담금상한액 초과시 공단이 부담하므로 상한액을 초과하여 납부한 경우 사후환급 본인부담금 상한제란 본인부담금 상한액까지만 납부 의료비 걱정 없이 병원을 다니기 위해서 건강보험은 필수적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혹시나 갑작스러운 상황에 의료비가 많이 나오게 되는 경우를 상상하면 부담감이 클 것입니다. 이러한 국민의 부담을 줄여주기 위하여 건강보험에서는 본인부담금상한제를 운영하고 있는데요. 본인부담금상한제란 쉽게 말해서 본인이 부담하는 본..
직장가입자 자격을 유지시켜주는 임의계속가입 유리한 건강보험료를 위한 선택 -직장가입자가 퇴직 하는 경우 이전 18개월동안 1년 이상 자격을 유지한 경우 임의계속가입제도 신청 가능 -신청은 지역가입자 보험료 최초 고지월의 납부기한에서 2개월까지 -임의계속가입자 자격유지는 36개월이며 직장가입자와 동일하므로 피부양자도 등록됨 -임의계속가입자의 건강보험료는 지난 12개월 보수월액평균액에 보험료율을 곱하고 50%를 경감 임의계속가입제도란? 직장가입자를 유지하는 제도 이제 건강보험에 대해서 조금 아시는 분들이라면 건강보험의 자격이 지역가입자와 직장가입자로 나뉜다는 사실은 상식일 것입니다. 그리고 직장가입자가 퇴직을 하게 되는 경우 따로 취직하지 않을 때까지 지역가입자로 자격이 변동되는 것도 알고 계시겠죠. 그런데..
직장가입자보다 다양한 지역가입자 경감 신청이 필요한 경우 반드시 신청해야 -65세 이상 노인 세대, 55세 이상 여자 단독세대, 한부모가족, 소년소녀가정 등 연 소득 360만원 이하일 경우 최대 30% 보험료 경감 -농어촌지역경감과 농어업인 경감을 모두 적용하면 최대 50% 보험료 경감 가능 노인 세대 등 세대별 경감 연 소득 360만원 이하 지역가입자 건강보험료가 경감되는 경우는 어떤 것이 있을까요? 이전에는 직장가입자 중 휴직을 하게 되면 건강보험료가 경감된다는 사실을 알아보았었죠. 직장가입자에 비하면 지역가입자는 경감되는 내용이 꽤 다양합니다. 그리고 지역가입자 건강보험료는 세대별로 부과되기 때문에 세대별 특징에 따른 경감이 있습니다. 노인세대 경감 65세 이상 노인이 있는 세대는 건강보험료를 최대..
연 2천만원 이하 주택임대소득 건강보험료는? 건강보험료 부과체계 개편 -연 2천만원 이하의 주택임대소득에 대해서도 건강보험료가 2020년 11월부터 부과 시작 -부부 기준 1주택자의 경우와 2주택자가 월세를 받지 않는 경우에는 비과세소득으로 부과안됨 -부과될 경우 2주택자에 대해서는 월세, 3주택자는 월세와 보증금에 대해서 부과됨 -임대등록자는 연수입 1천만원 초과부터 부과, 미등록자는 연수입 4백만원 초과부터 부과 -임대등록자는 필요경비 60%에 기본공제 400만원, 미등록자는 필요경비 50%에 기본공제 200만원 -임대등록자는 단기는 증가된 보험료의 60%, 장기는 20%만 부과하고 미등록자는 모두 부과 -소형주택 임대사업자 중 단기임대등록자는 보험료의 40%를, 장기임대등록자는 보험료의 80%를 한..
휴직자 등 건강보험료 경감내용 직장가입자의 건강보험료 경감내용 -직장가입자가 휴직하는 경우 100분의 50을 한도로 보험료 경감 -육아휴직자는 사실상 보험료 하한액을 적용 -섬 벽지지역 사업장에서 근무하는 경우에도 100분의 50 경감 직장가입자 휴직 휴직은 100분의 50 경감 직장가입자의 경우 건강보험료 조정이 거의 없지만 휴직하는 경우에는 건강보험료가 경감이 될 수 있습니다. 휴직에 따라 다르겠지만 보수가 있을 수도, 없을 수도 있기 때문인데요. 그렇다면 휴직의 경우 보험료가 어떻게 되느냐? 무보수 휴직이든, 유보수 휴직이든 건강보험료는 100분의 50이 경감됩니다. 다만 산정하는 기준은 무보수일 경우 휴직 전월 보수월액 기준으로 산정한 보험료의 절반이고, 유보수일 경우 휴직 전월 보수월액 기준으로..
처리하기 힘든 폐가전제품 무료로 방문해서 수거까지 수수료 내지 말고 무상수거 서비스 이용 -폐기물의 경우 배출할 때 수수료를 납부하게 되는데 대형폐기물 수수료는 지자체 조례로 정함 -보통은 지자체에 수수료를 납부하고 발급받은 스티커를 붙여서 배출하게 됨 -폐가전제품의 경우 무상방문 수거 서비스를 이용하면 무료로 처리할 수 있음 폐기물 처리 수수료를 납부하고 스티커를 발급받아야 배출가능 일반쓰레기는 종량제 봉투에 담아서 버리고, 재활용쓰레기는 분리수거를 하기에 처리가 그리 어렵지 않지만 대형폐기물 즉, 부피가 큰 가전제품이나 가구의 경우 처리가 어렵습니다. 우리나라의 폐기물관리법에서는 생활폐기물을 처리할 때 지자체에서 조례로 수수료를 징수할 수 있다고 되어있는데요. ⑤특별자치시장, 특별자치도지사, 시장ㆍ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