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X 할인제도 및 기차누리 등록하고 할인예매하는 법

반응형

기차누리로 할인받는 법

코레일에서 운영하는 KTX, 무궁화호 등 기차요금을 할인을 위한 제도는 꽤 다양합니다. 인터넷 특가에서부터 맘편한 KTX, 4인 동반석 할인까지 해당되는 경우 교통비 부담을 덜 수 있습니다. 무궁화호는 저렴하지만 KTX의 경우 2배 이상 요금이 비싸기 때문에 자주 이용하기에는 확실히 부담되는 것도 사실입니다. 

 

그럼 간단히 KTX의 할인제도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KTX 할인제도 정리>

 

1. 청소년 드림 : 만 24세까지 10~30% 할인 / 청소년 인증 필요

2. 힘내라 청춘 : 만 25~33세까지 10~40% 할인 / 청년 인증 필요

3. 맘편한 KTX : 임신부 외 보호자 1명 특실좌석을 일반식 가격으로 제공 / 정부24에서 신청가능(원스톱서비스)

*보호자 단독 승차 불가능 / 할인기간 : 출산예정일+1년

4. 다자녀 행복 : 만25세 미만 자녀 2명 이상인 경우 30% 할인 / 다자녀 가족 인증 필요

*어른 1명 포함 최소 3명 이상 이용시에 한함

5. 기차누리 : 기초생활수급자 30% 할인 / 등록 필요

6. 공공할인 : 장애인, 국가유공자, 경로(65세 이상을 말함)

제26조(경로우대) ①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는 65세 이상의 자에 대하여 대통령령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의 수송시설 및 고궁ㆍ능원ㆍ박물관ㆍ공원 등의 공공시설을 무료로 또는 그 이용요금을 할인하여 이용하게 할 수 있다.

7. 모범납세자 : 주중 기본 10% 할인 최대 30% 할인

8. 어린이, 유아 : 만6세 이상 13세 미만 50% 할인 / 만 6세 미만은 보호자 동반가능

9. N카드 : KTX와 ITX-청춘대상 / 기본 15% 최대 40% 할인(ITX-청춘은 30%까지)

*N카드 구매비용 있음

 

 

코레일톡으로 N카드&할인승차권 구매하기

코레일톡으로 N카드 및 할인승차권을 구매하는 방법을 스마트폰 화면을 통해 차근차근 알려드립니다. N카...

blog.naver.com

 

10. 정기승차권 : 45%~65% 할인

 

11. 입석, 자유석, 환승

  1)입석할인 : 15% 할인

  2)자유석할인 : 월~금 출퇴근시간대 5% 할인

  3)환승할인 : KTX가 정차하지 않는 역으로 환승시 30% 할인

  *한 장의 승차권으로 미리 예매해야 함

 

12. 단체할인 : 10명 이상 시 10% 할인

13. 4인 동반석 : 15%~35% 할인 / KTX, KTX 산천

 

자, 이제 본인이 활용할 수 있는 할인제도를 이용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기초생활수급자가 이용할 수 있는 기차누리에 대해서 더 알아보겠습니다.

 

<기차누리로 할인받기>

 

KTX 할인받는 기차누리

 

기차누리로 할인받기 위해서는 기초생활수급자여야 합니다. 그런데 기초생활수급자는 보통 생각하는 생계급여뿐만 아니라 의료급여, 주거급여, 교육급여 4가지 중 하나면 됩니다. 쉽게 말해 기초생활수급 증명이 되는 사람이면 기차누리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할인율이 30%이기 때문에 나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최대 1개월 8회의 제한이 있다는 점 참고해야 할 것입니다. 부정수급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를 이용하여 예매권을 판다는 등의 행위를 하면 할인자격이 정지됩니다.

 

 

1. 기차누리 할인을 받기 위해서는 우선 기초생활수급자 등록을 해야 합니다. 로그인을 하고 마이페이지에 들어가세요.

 

 

2. 그럼 마이페이지에 등록하기 버튼이 나옵니다. 여기를 클릭하여 인증등록 절차를 거칩니다. 절차는 어려울 것이 없습니다. 전산이 공유되기 때문인지 클릭 몇 번이면 끝난다고 보시면 됩니다.

 

 

4. 주민등록번호 입력 후 인증하기를 하면 완료가 됩니다. 유효기간은 1년으로 적용되는 것 같습니다.

 

 

5. 그럼 실제로 할인을 받아보도록 할까요? 승차권예약 메뉴의 할인승차권을 선택한 뒤 상품을 기차누리로 해둡니다. 그리고 출발역과 도착역을 고른 뒤 조회하기를 누르면 할인된 운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제 원하는 기차를 예매하고 할인된 금액으로 결제를 하면 되겠지요?? 1개월 8회라는 제한이 있지만 충분히 활용하기 좋을 것으로 생각이 됩니다.

 

참, 혹시라도 인터넷이 어렵다면 기초생활수급자 증명서를 가지고 직접 역에 방문하셔도 됩니다. 신분증을 꼭 챙겨가시기 바랍니다. 추가로 SRT는 따로 SR 사이트에서 신청하시면 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