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연금과 노령연금
국민연금 가입대상은 국내에 거주하는 18세 이상 60세 미만의 국민으로, 장애연금을 받고 있더라도 국민연금 적용사업장 근로자는 사업장가입자로 가입하여야 하며, 자영업을 하시거나 농어촌 지역에 사시는 분 등은 지역가입자로 가입하여야 합니다.
이는 국민연금이 전체 국민의 평균적인 노후소득보장을 위해 국가에서 실시하는 사회보장제도로서 전 국민에 대하여 당연히 적용되는 제도이기 때문입니다.
장애연금을 지급받고 계시는 분이 연금보험료를 꾸준히 납부하여 62세(1953년생 이후부터는 출생연도별로 61~65세)까지 가입기간 10년을 채울 경우에는 노령연금을 지급받을 수 있으며, 이때는 지급받는 장애연금과 노령연금 중 유리한 급여를 선택하여 지급받게 됩니다.
장애연금을 지급받으시는 분도 당연히 국민연금 가입자가 되지만, 소득이 없을 경우에는 납부예외 신청을 하셔서 연금보험료를 납부하지 않으실 수 있습니다.
국민연금 가입기간 도중 장애로 인해 장애연금을 받는다고 했을 때 그럼 더 이상 국민연금을 납부하지 않아도 되는가에 대해 궁금할 수 있는데, 답은 아니다. 국민연금의 경우 연령과 소득이 기준이 되기 때문에 본인이 아직 소득활동을 하고 있으며 만 60세가 되지 않았다면 국민연금 가입대상으로 계속 연금보험료를 납부해야 한다.
게다가 이 보험료를 통해 나중에 받게 되는 국민연금은 노령연금이기 때문에 장애연금과는 다르다. 따라서 가입대상기간 동안 국민연금보험료를 납부하고 노령연금 수급연령인 만 65세가 되면 장애연금과 노령연금의 수급대상이 되지만 모두 받을 수는 없다. 둘 중 유리한 급여를 선택해야 한다.
'사회보험 > 국민연금'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민연금 유족연금 받으려면? 유족연금 수급요건 (0) | 2022.10.07 |
---|---|
국민연금 유족연금은 누가 받을 수 있을까? 유족연금액은 얼마? (0) | 2022.10.06 |
국민연금 납부 중 장애가 생기면 장애연금은? (0) | 2022.10.04 |
국민연금과 공무원연금 간의 연계, 공적연금 연계제도 (0) | 2022.09.30 |
국민연금 받는 중 수입이 생기면? 국민연금 감액 및 정지 (0) | 2022.09.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