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연금 수령액
국민연금을 납부하면서 궁금한 것은 아무래도 나중에 내가 얼마나 받을 수 있느냐는 겁니다. 보통 국민연금 납부자라면 국민연금공단에서 나중에 연금예상액을 통보해주기 때문에 대체적으로 예상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복잡하지만 급여수준의 정도는 다음과 같이 예상할 수 있습니다.
위 표를 보면 알겠지만 가입기간이 20년이 되어야 기본연금액의 100%를 받습니다.
10년 이상만 되면 연금을 지급받을 수는 있지만 그 금액이 현저히 차이가 나므로 적어도 국민연금은 20년 이상 납부하는 것이 좋습니다.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에 들어가면 오른쪽에 내연금 알아보기 배너가 있는데 이를 클릭하면 국민연금 수령액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인증을 하지 않을 경우에는 모의계산 및 간단계산을 이용할 수 있는데요. 예상연금을 모의계산하려면 본인의 기본정보인 생년월일, 국민연금 최초 가입년월, 최종 상실년월을 적어야 합니다. 혹은 간단히 계산하려면 월 납입보험료만 적으면 간단히 알 수 있기도 합니다.
만약 국민연금 보험료가 9만원이라고 한다면 소득은 100만원입니다. 연금보험률은 소득월액의 9%이니까 말입니다. 이 경우 연금수령액이 얼마 되지 않을 것으로 생각할 수도 있지만 가입기간에 따라서 다릅니다. 만약 30년 가입하면서 100만원씩 소득에 대한 국민연금보험료 9만원을 납입하면 53만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국민연금은 소득재분배가 있기 때문에 소득이 적을수록 유리한 면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최대 납입할 수 있는 연금보험료인 471,600원을 넣어보면 30년 가입했을 경우 114만원으로 아까 전 9만원 납입자와 불과 두 배차이만 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고소득자의 경우에는 국민연금에 대해서 별로 탐탁지 않아할 수 있겠습니다.
인증 후 예상연금 수령액 조회
인증을 한 뒤에 연금수령액을 확인하면 더욱 편리합니다. 하나의 예를 들어보면 이렇게 노령연금액이 계산되어 나오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는 인증하지 않고 모의계산을 이용해도 같습니다.
연금을 받기 전까지는 물가상승률 등에 의해서 정확한 금액은 파악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위의 경우 대략 20년을 납부하지 않았지만 2천만원을 납부하고 소득 평균은 대략 160만원인데 연금보험료는 52만원 정도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평균소득월액인 A값보다 금액이 적기 때문에 소득재분배 보정을 받은 것입니다.
국민연금 예상수령액
위의 표를 참조하여 내 연금수령액을 찾아볼 수도 있습니다.
'사회보험 > 국민연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득이 없는 경우 국민연금에 가입할 수 있을까? 기초생활수급자는? (0) | 2022.08.10 |
---|---|
국민연금은 꼭 가입해야 하는 것일까? 소득이 없어도? (0) | 2022.08.09 |
국민연금과 공무원연금 연계하는 공적연금연계제도 (0) | 2021.09.15 |
국민연금 미납 사업장 과태료 및 사용자 벌칙 (0) | 2021.09.13 |
연금소득세 및 소득공제, 국민연금과세 (0) | 2021.09.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