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란? 가입대상, 소득공제기준

반응형

 

 

 

청년들의 자산형성을 지원하기 위해

 

정부는 지난 8월 청년특별대책을 발표했습니다. 여기에는 모든 청년들의 든든한 출발을 지원하기 위한 맞춤형 자산형성 지원사업에 대한 내용도 있었는데요. 소득에 따라 지원이 되는 사업이 다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가장 소득이 적은 청년에게는 청년내일저축계좌, 그 다음은 청년희망적금, 그 다음은 청년형소득공제 장기펀드인데요. 

 

여기서는 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쉽게 말해서 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는 청년이 장기펀드에 가입하는 경우 펀드 납입액의 일정금액(40%)를 연말정산 시 소득공제로 인정해주겠다는 것인데요. 연말정산 세금의 부담을 조금은 줄여줄 것으로 예상이 됩니다.

 

1. 가입기준

 

-연령 : 만19세~34세 / 병역이행기간 최대 6년 추가 인정됨

-소득 : 총급여 5천만원 이하 / 종합소득금액 3,800만원 이하(개정안에서 수정되었음)

-소득공제 배제 기준 : 총 급여액 8천만원 초과 / 종합소득금액 6,700만원 초과

이러한 소득공제 내용은 조세특례제한법에 규정되었습니다. 기재위 의결이 되면서 내용이 조금 수정된 부분이 있으니 최신의 정보를 잘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고소득자는 장기펀드 소득공제의 혜택을 받을 수 없는데 그 기준 또한 참고바랍니다.

 

2. 소득공제 

 

장기펀드란 최소 3년에서 최대 5년까지 가입해야 하는데 이 때 납입금액의 40%를 소득공제로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 다만 납입금액은 연 600만원을 한도로 합니다. 즉 최대 240만원까지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이 제도의 혜택을 보기 위해서는 2023년 12월 31일까지 가입해야 합니다.

 

결국 3년을 기준으로 1,800만원 납임금액의 소득공제 720만원의 혜택을 받을 수 있고, 추가적으로 펀드 수입까지 얻을 수 있습니다. 

 

*다른 블로그 등에서 과거 정보를 기준으로 종합소득금액 3,500만원 이하는 가입할 수 없다고 나오는데 3,800만원 이하라는 점 꼭 참고하시기 바라며, 종합소득금액이란 종합소득에서 경비를 뺀 금액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보통 근로소득만 있는 경우는 상관없습니다. 

 

문의는 기재부 금융세제과(044-215-4233)으로 하시기 바랍니다.

위 내용에 대한 세부적인 절차에 대해서는 현재 조세특례제한법 시행령이 개정절차를 밟고 있습니다. 아직 시행되지는 않았지만 개정안에 대해서 다음 포스팅에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