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부 국민연금 동시 가입, 동시 수령? 유족연금은?

반응형
부부 국민연금

부부 국민연금

예를 들어 남편이 30년을 가입하여 매월 150만원의 연금을, 부인이 20년을 가입하여 100만원의 노령연금을 받을 권리가 생긴다면 부부는 각자의 노령연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다만, 부부 모두 노령연금을 지급받고 있는 중에 한 사람이 사망하면 남은 배우자에게 유족연금을 받을 권리가 발생하는데 이때는 두 가지 급여 모두를 받을 수는 없으며, 본인의 노령연금과 배우자의 사망으로 발생한 유족연금 중에 하나를 선택하여야 합니다.


이 경우 노령연금을 선택하면 노령연금액에 유족연금액의 30%를 추가로 지급받게 되며, 유족연금을 선택하면 유족연금만 지급받게 됩니다.


이는 국민연금이 사회보험으로서 가입자 본인 또는 유족의 소득감소에 따른 생계를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연금의종류는 달라도 소득보장이라는 동일한 목적을 가지고 있으므로, 한 사람이 2개 이상의 급여를 받을 경우 급여를 제한하여 더 많은 사람에게 혜택이 돌아갈 수 있도록 하는 사회보장의 기본원리에 따른 것입니다.


부부가 모두 국민연금에 가입하면 나중에 국민연금이 깎인다는 얘기도 있는 것 같은데 이는 잘못된 얘기다. 아마 기초연금과 헷갈린 것으로 생각된다. 실제로 기초연금은 부부가 모두 받는 경우 감액되어 지급된다. 하지만 국민연금 즉 노령연금은 상관없이 둘 다 해당되는 연금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노후를 위해서는 부부 모두 국민연금에 가입하는 것이 좋다.

 

또한 부부 중 한 명이 사망하게 되면 자연히 배우자는 유족연금의 최우선 순위자가 되는데 이때 본인의 노령연금을 선택하거나 사망한 배우자의 유족연금을 선택할 수 있다. 국민연금은 중복급여를 제한하기 때문에 모두 받을 수는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본인의 노령연금을 선택했을 경우 유족연금의 30%를 추가로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유족연금은 20년 이상 가입자의 경우 배우자의 기본연금액의 60%라는 점을 생각해봤을 때 이 금액이 본인의 노령연금과 30%를 합친 것보다 많다면 유족연금을 받는 것이 당연한 선택일 것이다.

반응형